먹자골목 햄버거 메뉴

목차

     작은 집에서 혼자 지내다가 넓은 집에서 더 많은 가족들과 생활하다 보면 간혹 와이파이 속도가 현저히 느려질 때가 있습니다. 통신사에 전화해서 와이파이 속도에 대해 상담하면 더 비싸거나 빠른 속도의 다른 제품 권유만 받고, 본인들이 송신하는 신호에는 문제가 없으니 알아서 확인하라는 답변만 돌아올게 뻔합니다. 최근에 지어진 아파트들은 사실상 인터넷 송수신 측면에서 문제가 될 부분이 거의 없으니 그쪽부터 확인해보는건 거의 의미가 없고, 중요한건 내 집 안의 인터넷 환경 문제가 대부분 원인입니다. 내 집에 와이파이 속도가 느린 이유를 추측해보고,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법 세 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    기가 와이파이 공유기 사용

     최근에는 티비와 결합해서 기가 와이파이를 가입하고 사용중인 가구가 꽤 많습니다. 중요한건 내가 가입한 인터넷이 기가 인터넷인지, 일반 인터넷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는 겁니다. 기가 인터넷을 가입했다면, 통신사에서 우리집으로 송신해주는 인터넷은 속도가 더 빠른 기가 인터넷 신호인데, 집에서 이 신호를 받아 와이파이로 뿌려주는 무선랜 공유기는 와이파이 공유기가 아닌 집도 있습니다. 기껏 더 더 비싼 금액을 지불하고 기가 인터넷을 수신하고 있지만, 집 안에서는 기가 와이파이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입니다. 무선랜 공유기에서 와이파이 신호를 잡을때 2.4Ghz 와 5Ghz 두 가지가 보이는 제품들이 있는데, 5Ghz가 일명 기가 와이파이 입니다. 현재 가입된 인터넷이 기가 인터넷인지 먼저 확인해보고, 맞다면 무선랜 공유기도 기가 와이파이를 지원하는지 확인해보는게 첫번째입니다.

    적합한 랜선 규격 사용

     이 글을 찾아 읽는 분들중 99%는 랜선 케이블이 어떻게 생긴건지 아실 것 같습니다. 하지만, 랜선 케이블에도 규격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분들은 절반도 되지 않을겁니다. 앞서 말씀드린 기가 인터넷과 비슷한 맥락인데, 데이터 전송률이 매우 높은 기가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정작 그 전송률까지 지원하지 않는 랜선 케이블로 공유기를 꽂아서 사용중인 분들이 많습니다. 이럴 경우, USB 3.0 단자에 2.0 케이블을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 처럼 원래의 높은 속도를 전혀 사용하지 못합니다. 랜선 케이블 규격은 CAT3, CAT4 등으로 표현되는데, 케이블을 자세히 보면 규격이 적혀있습니다. 현재 우리집에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상품과 내 공유기에 연결된 랜선 규격을 확인하셔서 혹시 손해보고 있는 것은 아닌지, 필요하면 최신 규격으로 교체해주시기 바랍니다.

    증폭기 설치

     서두에서 말씀드린 것 처럼 집이 좀 넓어지면서 신호가 약해져서 인터넷이 느려지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. 과거에는 이런 경우에 신호가 닿지 않는 방에 인터넷을 추가로 가입하는 등 비효율적이 방법 밖에 없었는데, 이제는 '증폭기' 만 설치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 증폭기는 말 그대로 약해진 와이파이 신호를 증폭해주는 장치인데, 우리집 거실에 있는 무선랜 공유기의 신호가 끝 방으로 갈수록 약해진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. 이런 경우에 거실에서 끝 방으로 가는 경로에 손바닥만한 증폭기 하나만 전원 플러그에 꽂아서 설치해주면 와이파이 신호가 살아나면서 기존에 신호가 약하던 끝 방에서도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. 근래의 증폭기는 크기도 작고 설치 방법도 심플하면서 성능도 탁월하니 조금 평수가 큰 가구에서는 활용하시면  좋은 결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.
     전세계 IT 최강자인 대한민국에서 내 집 와이파이 속도가 느려서 불편하다는건 어불성설입니다. 몇가지만 확인해보면 간단히 와이파이 속도를 끌어올릴 수 있는 방법이 많으므로, 하나씩 차근차근 확인하시어 쾌적한 인터넷 환경 구축하시기 바랍니다.

    댓글
    위쪽 화살표
   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(하트)과 댓글을 부탁드려요.
    로딩바